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
특수한 학습자의 교육방법(지적 장애 원인과 기준) 특수한 학습자의 교육방법(지적 장애 원인과 기준) 왼쪽, 좌 극단에 있는 특수한 학습자, 예외적인 학습자는 지적 장애라고 얘기합니다. 옛날 과거에는 정신지체, 정신박약아, 저능아 이런 속어들을 많이 썼었는데요. 이제는 그냥 지적 장애라는 표현을 쓰고 있고요. 지적 장애는 18세 이전에 시작하는 발달 장애 상태입니다. 그래서 지적으로, 특히 인지적인 능력에 뚜렷한 제한이 생기고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지적 장애 자체가 질병은 아니고 발달에 retardation이라고 하는 지체. 그야말로 늦게 나타나거나 아니면 정체돼 있거나 이런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지적 장애의 원인 지적 장애의 원인은 유전적 원인도 있을 수 있고 유기체적인 원인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집안 대대로..
특수한 학습자 - 특수교육에 대하여 특수한 학습자 - 특수교육에 대하여 특수교육을 요즘 사범대 학생들은 필수로 듣고 있는 경향이 있어요. 학교마다 조금 다르기는 합니다. 특수교육에 대해서 기본적인 것들을 설명드리면, 중요한 용어로써 일단 통합 교육이라고 하는 의미를 하셔야 되는데요. 통합 교육에는 완전 통합과 균형 통합이 있어요. 그래서 통합 교육이라고 하는 것은 특수한 학습자가 일반 학생하고 같이 기본적인 필수 요건을 갖추게 되면, 정규 학급에 배치시키는 것을 통합 교육이라고 합니다. inclusion이라고 하고요. 이때 이 통합의 유형에 완전 통합과 균형 통합이 있는데, 완전 통합은 심각한 장애가 있는 학생이 있을지라도 모든 학생을 정규 학급에 배치시키는 것을 완전 통합이라고 하고요. 그에 비해서 균형 통합은 심각한 장애를 가진 학생들..
정서 행동 장애와 자폐 증상과 특징 정서 행동 장애와 자폐 증상과 특징 정서 행동 장애와 자폐를 묶어서 말씀드리고 싶은데요. 정서 행동 장애. 예전에는 정서 장애, 행동 장애 이렇게 따로 떼서 얘기를 했었는데요. 이 정서와 행동이라고 하는 것이 결코 따로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얘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두 개가 이렇게 상호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언젠가부터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라고 해서 EBD라고 하는 약자를 쓰면서 두 개를 같이 묶어서 얘기하게 되었어요. 정서 행동 장애 정의는 어떤 상황에 부적절한 행동 그리고 과도한 우울, 이런 증상을 보이거나 또 학교에서는 학업 수행에 부적응을 초래해서 공부를 못한다든지 아니면 안 하려고 한다든지. 그래서 인지적으로 감각적으로 또 건강상의 요소들, 이런 거로 다 설명될..
영재성의 개념과 요소, 교육 방법 영재성의 개념과 요소, 교육 방법 지적인 특수성, 그러니까 머리가 좋냐 나쁘냐는 거죠. 이것을 기준으로 말을 할 때 영재와 그다음에 지적 장애. 두 가지로 얘기를 드릴 수 있습니다. 정상 분포 곡선을 기준으로 중간에서, 평균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예외적인 학습자인 거죠. 왼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방금 말씀드린 특수교육 대상자. 오른쪽으로 상위에 멀리 떨어져 있으면 영재라고 이름을 붙입니다. 영재. 영어로는 the gifted인데, 이름도 참 예쁘죠? 선물 받은 아이들입니다. 뭔가 talent를, 특성을 혹은 특별한 능력을 선물 받은 아이들인데요. 영재성 개념화 정의 영재성을 개념화하는 정의가 굉장히 다양했어요. 학자들마다 좀 다양한데, 최근에 렌쥴리라는 학자는 학교 영재하고 창의적인 영재 혹은 생..
사회 인지적 관점에서 중요한 용어 정리 사회 인지적 관점에서 중요한 용어 정리 중요한 용어들 몇 개만 짚고 가면, 상보적 인과관계라는 용어가 사회 인지적 관점을 설명할 때 꼭 필요합니다. 인간의 행동은 나만 중요한 게 아니라 나의 요인, 개인적인 요인 그리고 내가 처해있는 환경적 요인 그리고 행동. 내가 수행하는 행동. 이 세 가지 요소가 behavior, environment, person. 그래서 BPE 세 가지가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고 해서 상보적 인과관계라고 설명을 합니다. 그리고 행동주의에서 없었던 꼭 필요한 단어 중에 하나가 기대예요. '형이 저렇게 시험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성적을 받으니까 엄마가 형이 평소에 사고 싶던 운동화를 사주네? 그럼 나도 공부를 많이 해서 시험을 잘 보면 나도 그렇게 내가 갖고 싶던 걸 받을 수 있겠지..
조작적 조건 이론을 응용할 때 주의할 점 조작적 조건 이론을 응용할 때 주의할 점 조작적 조건을 이용하실 때 응용할 수 있는 기법이 프리맥 원리라고 하는 것인데요. 데이비드 프리맥이라고 하는 사람 이름이에요. 그래서 이 사람이 얘기한 것이 저도 아이가 어릴 때 많이 이용했었는데, 예를 들면 아이가 한 3살, 4살쯤 되면, 하루에 익숙하게 행동해야 될 일들이 많죠. 아침에 스스로 일어나서 양치질도 혼자 하고 세수도 하고 옷도 혼자 입고 어린이 집 가방도 혼자 챙기고 이랬으면 좋겠는데, 이거를 처음에 잘 안되니까 엄마들이 '이거 하면 뭐 줄게. 이거 하면 뭐 사줄게. ' 이런 식으로 얘기를 하거든요. 그래서 행동 하나를 할 때마다 어떤 독립적인 강화물을 쓰지 말고 행동을 연속적으로 쭉 늘어놓고 나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특정한 행동이 상대적으로 자주 ..
학습, 고전적 조건 형성(행동주의) 학습, 고전적 조건 형성(행동주의) 학습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학습은 행동주의적 접근과 인지주의적 접근으로 크게 구별해서 주제를 잡았는데요. 이번 주에는 행동주의적 접근만 먼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학습을 정의를 내려 보면, 한자로 풀면 쉽죠. 배울 학(學) 자에 익힐 습(習) 자입니다. 그래서 배우고 익히는 과정인데요. 경험과 연습의 결과로 일어나는, 여기서 중요한 건 비교적 영속적인 행동의 변화라는 거예요. 그러니까 일시적인 변화는 학습이라고 보지 않아요. 우리가 이런 예를 들 때 가장 많이 드는 예가 책에서 약물효과거든요. 올림픽이나 이런 걸 할 때 운동선수들이 약물을 하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래서 도핑검사도 하는데요. 그런 약을 먹으면 순간적으로 근육의 힘이 세진다든지. 스테..
학습과 관련된 기타 장애 문제 학습과 관련된 기타 장애 문제 기타로 분류할 수 있는 장애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사실 일반 학교나 여러분들이 일반적인 생활을 하시면서 만나보기 어려울 수 있는 장애들도 여기서 조금만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장애라고 하면 여러분이 가장 쉽게 생각하는 게 감각 장애일 것입니다. 시각 장애와 청각 장애 시각 장애와 청각 장애죠. 안 보이고 안 들리고. 그래서 그런 감각으로 나타나는 장애를 장애로 가장 쉽게 생각하고 또 지체 장애를 제일 쉽게 생각하실 거예요. 오히려 우리가 지금까지 앞에 설명드린 학습 장애, ADHD, 자폐, 정서 행동 장애. 이런 증상 혹은 이런 장애 군보다는 몸이 불편하거나 안 보이거나 이런 감각 장애를 장애라고 생각하시기가 쉬우셨을 겁니다. 그래서 시각 장애는 그야말로 영구적으로 심..
파블로프의 개에서 중요한 학습원리 파블로프의 개에서 중요한 학습원리 중요한 학습의 원리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첫 번째, 소거의 개념을 이해하셔야 돼요. 소거는 사라지는 걸 소거라고 하죠. 어떤 것이 사라지는 것이냐 하면, 무조건 자극을 제시하지 않고 조건 자극을 계속 제시하면, 조건반응이 점차 사라지는 겁니다. 이렇게 용어를 써서 설명드리면 좀 어렵죠? 아까 개 침 흘리기 반응을 가지고 계속 설명드리면, 음식을 제시하지 않고 계속 종소리만 치잖아요? 처음에 음식을 가지고 침 흘리기 하고 종소리, 음식, 침 흘리기. 종소리, 음식, 침 흘리기. 나중에는 종소리만으로도 침 흘리기가 됐어요. 그런데 그 과정이 학습 조건 형성이 되면서 종소리, 침, 종소리, 침 이렇게 됐는데 음식 없이 계속 종소리만 치면 처음에는 침을 흘리죠. 그런데 점점 ..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 가장 유명한 이론이 파블로프라는 러시아의 생리학자.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이죠. 고전적 조건화라고도 합니다. conditioning이라는 말을 써요. 아까 환경과 사태 간의 관계, 조건 이런 것들을 연구하는 접근법이라고 했잖아요. 그래서 조건 형성이라고 하는 것이 A라는 조건에서는 B라는 행동을 한다든지. '어? 이 사람이 왜 이 행동을 했을까? 아, 이런 조건에 있었기 때문이구나. ' 이런 식으로 행동을 이해하는 거죠. 파블로프는 원래 심리학자도 아니고 교육학자는 더더욱 아니고요. 생리학자였고요. 밥 먹고 소화시키는 소화를 연구해서 노벨상까지 받은 아주 유명한 과학자였거든요. 그런데 이 사람의 연구가 심리학자들의 연구결과 가져다가 유기체의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원리로 ..